기타 분류

ETRI, '전고체 이차전지' 핵심소재 개발...과전압 줄이고, 고속 충전 성능 높여

컨텐츠 정보

본문

한국전자통신연구원(ETRI) 차세대 리튬 차전지로 알려진 전고체 차전지용 '전도성 바인더'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. 전도성 바인더는 접착력 높은 고분자 소재다. 를 활용해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어 고성능 전고체 차전지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.


ETRI는 환경친화적인 소재인 셀룰로오스 기반 새로운 전도성 바인더를 개발해 전고체 차전지 음극에 적용했다고 12일 밝혔다.


번 성과는 에너지 소재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'에너지 스토리지 머티리얼즈'최신호 온라인에 게재됐다.


전고체 차전지는 온 전달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꿔 안전성과 에너지 저장 밀도를 높인 전지 시스템다. 배터리 음극은 양극에서 동한 리튬온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. 중 충전 시 리튬온을 받아들는 음극재는 배터리 충전 속도와 수명,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다.


연구진 개발한 전도성 바인더는 음극재 일종다. 에너지 저장을 담당하는 활물질에 도포된다. 연구진은 셀룰로오스계 소재를 용, 고품질 온 전도성 바인더를 개발했다.


연구진은 개발된 바인더를 흑연 음극 구성에 적용해 새로운 전극 구조를 만들었다. 전해질 성분을 완전히 배제해 더 많은 활물질로 구성했다.


연구진은 다양한 전기화학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기존 비전도성 바인더 대비 충·방전 과전압 약 30% 감소, 고율 충·방전 성능 약 40% 증가 등 흑연 활물질 입자 계면에서 전도성 향상 효과를 확인했다.



액체전해질 함침형 전극과 전해질 배제형 전극 비교 모식도(왼쪽 상단) 및 전해질 배제형 흑연 전극 전자현미경 미지(우측 상단). 전극내 리튬온전달 경로(아래)


과전압 감소하면 배터리 내부 저항 감소해 안정적 구동 및 배터리 수명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. 또 고속 충전 시 에너지전달 효율을 유지해 충전 성능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.


연구를 주도한 신동옥 ETRI 박사는 “전도성 바인더 소재를 전고체 차전지에 적용해 입자간 리튬 온 전달 효율성을 극대화했다”며 “전극 내 전해질 성분을 배제해 기존 전지 제조공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고성능 전고체 차전지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”고 밝혔다.


연구 총괄책임자인 영기 ETRI 박사는 “그동안 액체상 전해질로 인해 가려졌던 전도성 바인더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을 찾은 결과”라며 “소재·부품·장비 기술 자립화 사업 결과로 차세대 리튬 차전지용 핵심소재 국산화에 기여할 것“라고 말했다.


ETRI 연구진은 흑연 전극 적용에 초점을 맞춘 번 연구 외에 고용량 음극 소재 확대 연구도 진행할 예정다.


번 연구는 ETRI 기본사업인 'ICT 소재·부품·장비 자립 및 도전기술개발' 지원으로 수행됐다. ETRI 주관으로 조경재 텍사스대 댈러스캠퍼스 교수팀, 용민 대구경북과학기술원(DGIST) 교수팀과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. 논문은 신동옥 ETRI 박사, 김형준 서울대 박사과정생 및 정승원 DGIST 박사과정생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.

  • 링크
  •  



    관련자료

    댓글 0
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     

     


    목록
    Total 3,167 / 31 Page
    RSS
    번호
    제목
    이름

    최근글


    새댓글


    배너


    알림 0